그동안 많은 일이 있었다.
고통 받던 종설은 결국 잘 마무리 되었다.
( 상도 받고 A+ 받아서 좋은 추억으로 포장됨.. )
4개월내내 시간에 쫒겼지만 마지막에 제대로 타임어택 당해서 아침 6시까지 개발하던 기억은 한동안 잊지 못할 것 같다
그뒤로 해커톤도 나가고 동아리에서 프로젝트도 진행했다.
지금은 패스트캠퍼스에서 부트캠프를 하고 있는데 1시~10시까지래서 엄청 바쁠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널널했다.
지금 2주 정도 됐는데 여기서 제공해주는 온라인강의가 내게 꽤 유익해서 만족스럽다. (2주간 온라인강의는 매일, 실시간 강의는 일주일에 3시간씩 2번정도 있었다)
2주간 UI/UX 공부를 마무리했고 이번주부터는 미니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미니 프로젝트의 주제는 금융앱이고 우리조는 40대 전업주부로 페르소나를 지정해주셨다.
내 주위에 전업주부인 분이 거의 없어 스토리를 잘 끌어 낼 수 있을까 걱정되었다.
아침 일찍 혼자 카페에 가서 책을 읽으며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평일 아침이라 그런지 손님보다 배달기사님께서 더 많이 오셨다 (역시 배달의 민족..)
과제는 페르소나를 만드는 것부터 시작이었는데 페르소나를 더 잘 이해하고 배운 내용도 적용해보고 싶어 린캔버스를 작성해 보았다.
린 캔버스
Problem
1) 원하는 메뉴를 찾기 어렵고 검색을 해도 비슷한 이름의 메뉴들이 많아 한눈에 파악하기 힘들다
2) 금융에 대한 지식이 많지 않아 상품 선택과 서비스 사용에 어려움을 느낀다.
3) 가계부와 소비패턴을 보고싶지만 카테고리가 정돈이 되어있지 않고 연동이 되지않아 가족단위의 가계부를 보기 힘들다.
최근 신한 은행에서 적금을 알아보기위해 신한 쏠 앱을 이용했다. 보통 금융앱을 이용할때는 송금, 상품 가입 및 확인, 대출, 재산 관리등 목적이 분명하다.
신한 쏠의 메인페이지는 땡겨요, 쏠팁스, 쏠지갑, 쏠야구, 스토리뱅크 등 사용 빈도수가 낮은 메뉴들이 나열되어있고 특히 광고와 땡겨요 메뉴에 색이 강조 되어있어 원하는 메뉴를 찾는데 시선을 방해하였다.
(쏠 이라는 단어가 어조가 강하여 쏠지갑 대신 내 지갑이 읽기도 찾기도 편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난 적금 가입을 위해 앱을 찾았으므로 자산관리 -> 예적금/청약 으로 이동하였다.
조건과 가입절차는 적금에 지식이 많지 않은 나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되어있었고 내게 맞는 상품을 적절히 찾을 수 있었다.
신한 쏠에 대한 고찰이 된것 같지만 하나만 더 풀자면 적금에 가입한후 종종 나의 적금 상품을 찾는데 메뉴가 도무지 안보인다. 그래서 검색을 했더니 적금단어 하나로 너무 많은 결과가 나왔다. 조금 헤매다가 메뉴 전체보기의 가장 마지막에 있는걸 발견했다! 검색 결과의 배치가 어떤 기준인지는 모르겠으나 사회초년생인 나에겐 불편한 경험이었다 :(
+ 앱에 들어갈때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는데 처음부터 입력하지않고 필요시에만 입력하면 좋을 것 같다.
이러한 이유로 Problem을 3가지 정리했고 마지막 3번은 같은 팀원이 가계부에 관심이 많았는데 앱 사용시 카테고리별로 분류가 되지않고 연동이 불편함에 문제를 느꼈고 우리팀의 페르소나가 40대 주부인점을 고려해 추가하였다.
Customer Segments
1) 어른이 되어 경제생활에 관심을 갖고있지만 처음접하는 경제 용어들에 어려움을 겪는 20대 초중반 사용자들
2) 갓 입사하여 월급을 받기 시작하여 돈관리를 시작하고자하는 사회초년생인 20대후반~30대 초반 사용자들
3) 결혼 및 육아 이슈로 미래 큰 지출이 예상되어 적금, 주식등으로 자산을 늘리고자하는 30대~40대 사용자들
-> 여기서 문제를 가장 크게 느끼고 가장 개선 의지가 강한 사용자로 정해야한다. 나는 경제용어에 익숙하지 못하고 수익이 발생해 자산관리를 시작하는 2번으로 정하였으나 현재 프로젝트는 40대 전업주부로 페르소나가 정해져있어 아쉬웠다.
Unique Value Proposition
1) 바쁜 대학생, 직장인을 위해 대신 자산을 대신 관리
2) 자산 증식을 위해 사용자 맞춤으로 제공되는 상품 추천
3) 개인 뿐만 아닌 가족단위로도 자산 관리 가능
Solution
1) 가족 연동을 통해 가족 단위로 관리가능한 가계부 기능 제공
2) 사용자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메뉴를 맞춤 설정할 수 있게 메뉴 커스 텀 제공
3)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맞춤 금융 상품 추천
Channels
1) 광고
2) 이벤트 베너
3) 유튜브
Revenue Streams
1) 이자 및 예금 수익
2)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시 수익
3) 광고 게재 수익
4) 파트너십 및 제휴 수익
Cost Structure
1) 앱 개발 유지 보수 비용
2) 서버 유지 보수 비용
3) 보안 및 데이터 보호 비용
4) 개발, 고객 지원, 운영 팀의 인력 비용
5) 거래 수수료
6) 제휴 , 연동을 위한 외부 서비스 비용
7) 마케팅 및 광고 비용
Key Metrics
1) 사용자의 월간 앱 접속 빈도수
2) 금융상품 이용 갯수
3) 송금 및 가계부 이용률
Unpair Advantage
1)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거나 원하는 메뉴로 메인페이지 커스텀 가능
2) 자신의 가계부만 관리하는게 아닌 원하는 사람과 가계부 연동 가능
이렇게 린 캔버스를 작성하였다.
다음은 린캔버스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세분화 하였다.
이제 이 사용자 세분화를 바탕으로 페르소나를 모델링 하고자 한다.
페르소나 보러가기 >> https://hiyeong.tistory.com/45
미니프로젝트( 페르소나, 리소스플로우, 고객여정지도 )
앞서서 작성한 린캔버스와 사용자 세분화를 바탕으로 페르소나를 작성하였다. 이미 페르소나는 40대 전업주부로 정해졌지만 린캔버스를 작성함으로써 사용자들이 공통적으로 원하는것과 솔루
hiyeong.tistory.com
'UI 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앱 미니프로젝트 (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 (0) | 2023.08.05 |
---|---|
금융앱 미니프로젝트( 페르소나, 리소스플로우, 고객여정지도 ) (0) | 2023.08.03 |
웹디자인 해상도 (0) | 2023.03.13 |
Pixel, PPI, DPI, SP, PT, DP [ 디자인 단위 파헤치기 ] (0) | 2023.03.06 |
CUI/ GUI/ NUI - UI의 구분과 UI 설계지침 10원칙 (0) | 2023.03.05 |